메뉴 건너뛰기

My AudioLab

KYJ Lab

2017.06.02 12:16

Revisit 845 (II)

KYJ
조회 수 181 댓글 15

DSCN0620.JPG

 

DSCN0621.JPG

 

 

히터 캐소드간의 내압문제

 

이 시점에서 이런 종류의 회로에서 반드시 주의할 점을 상기시켜야 할 것 같다.  다름 아닌 히터와 캐소드간의 허용 전압의 문제다.  6BL7의 경우 허용전압은 대략 200V이내로 되어 있지만 히터 전압을 그라운드로 잡았을 때 정, 부 전압이 꼭 대칭이 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드라이버 단의 6BL7 반쪽 3극관 캐소드에는 대략 150V 내외의 전압이 걸리고 다른 반쪽의 3극관 캐소드에는 -130V 내외의 전압이 걸리도록 설계 되어 있다.  이런 경우 히터-캐소드간의 허용 내압 전압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히터 전압에 적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걸어주어야 하는데 이 문제는 히터 전원의 한 끝을 그라운드 시켜 줌으로서 해결하였다.

 

그런데 시험도중 출력 전압이 갑자기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게 되었다.  전원을 키고 출력파형을 스코프로 관찰하고 있었는데  몇 분 후 갑자기 출력파형이 사라져 버리는 현상이 생긴 것이다.  이 때 츨력관 그리드 바이어스가 -135V 걸려 있었다.  의심이 드는 부분은 역시 캐소드-히터간의 허용전압이다.  히터-캐소드 간의 정련이 깨지면 캐스드가 그라운드가 되어 입력 신호가 그라운드 되는 꼴이 된 것이다.  그런 상태에서도 출력관이 동작하고 잇는 것은 출력관 캐소드(즉 필라멘트 중간 탭)에 CCS가 있기 때문이다.  그릿드 전압이 제로가 되면 (즉 그릿드가 그라운드가 되면) CCS는 그 양단의 전압을 올려서 전류의 양을 제한하게 된다.  

이 현상은 그릿드 바이어스를 -120V로 낮추어 준 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문제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니 캐소드 접지 증폭기로 사용한 반쪽 6BL7의 캐소드에는 +150V가 걸려있지만 또한 270 uF라는 대용량의 캪으로 바이패스 되어 있어 이 부분은 신호전압에 따른 전압변동은 무시할 정도라고 보여진다.  반면 6BL7의 다른 반쪽은 CF로 동작하여 이 부분은 -130V의 바이어스 전압을 중심으로 거의 +-150V 정도의 신호전압이 걸릴 수 있으니 안전 동작을 위해서는 히터 전원의 한 끝을 -130V의 바이어스 전압을 걸어주는게 좋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그렇지만 현재의 상태로 이렇게 하는 것은  6BL7의 두 삼극관부는 공통의 히터를 사용하고 있으니 불가능하다.  이것은 배선을 바꾸어 2대의 6BL7을 양 채널이 공유하도록 하면 해결된다.  즉 한개의 6BL7의 두 삼극관은 모두 캐소드 접지 증폭기로 사용하고  또 다른 6BL7의 두 3극관부는 모두 CF 드라이버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니면 드라이버단의 진공관 레이아웃을 바꾸어 다른 진공관을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CF 드라이버에 6L6 혹은 EL34를 3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니면 강박사님이 애용하시는 직열형 5극관 8042를 3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현 상태에서 암프는 별 이상없이 잘 동작하고 있다.

 

출력(트랜스) 주파수 특성

 

첫 출력트랜스는 UTC사의 트랜지스터 용 출력트랜스를 분해하여 얻어낸EI 코아를 사용하여 만들어 보았다 . 이 코아는 특성을 알 수는 없지만 다른 코아들에 비해 철판이 얇다.  1차는  2616회 이고 2차는 8옴 기준  84회이다.  1차는 5분할 2차는 4분할을 하였다.

츨력단자에 8옴 다미로드를 달고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여 보았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dB  down @17KHz, 2dB down @ 22KHz, 3dB down @ 23KHz, 6dB down at 25KHz, 6dB down @ 40KHz, 3dB down @ 52KHz

즉 고역 특성은 대략 17K Hz 에서 감쇄를 시작하여 3dB  감쇄점이 23KHz 이니 좋은 특성은 아니지만 큰 문제가 있는 특성도 아니다.  문제는 거의 30KHz에서 상당한 골짜기가 생기고 거의 52 KHz에서 봉우리가 생긴다는 점이다.  이런 특성은 정현파 응답특성에서 위상이 전도되는 현상을 볼 수 있고 이런 점은 부궤환을 걸어 줄 경우 암프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트랜스의 특성에 만족할 수 없어R코아 KD128을 한번 더 자로단출을한 코아가 있어 이를 사용하여 새로운 출력트랜스를 제작하였다.  

 

이 새로운 출력트랜스는 1차 3008회, 2차는 8옴 기준 82회를 감아서 임피전스 비는 대략 10K:8Ohm정도가 되었다.  고역특성은 1dB down @30KHz, 2dB down @ 48KHz, 3dB down @ 50KHz 정도로  개선되었고 120KHz 부근에서 위상반전이 일어나고 있다.  아마도 이 주파수가 거의 공진점인 것으로 보인다.  1KHz에서 측정한 최대출력은 대략 19W 정도이다.  여기서 말하는 최대출력이란 육안으로 관찰한 출력파형이 찌그러지기 직전에 측정한  출력전압을 기준한 것이다.  이때 관찰된 최대 출력전압이 35V PP를 약간 상회하였다.  아마도 20W 출력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다음 캐소드 휘드백을 걸어 보았다.  처음 1차권선을 반으로 나누어 반은 풀레이트에 반은 캐소드 부하로 하였지만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아마도 2개의 보빈중 하나는 풀레이트에 다른 하나는 캐소드에 넣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캐소드 휘드백 코일의 권수비를 7:1로 휘드백 양을 대폭 줄였다.  그 결과는 고역의 대폭 개선을 가져왔다.  이제 1dB  down @ 60KHz, 2dB down @ 63KHz, 3dB down @ 74kHz로 측정되었다.  이 경우 20 KHz 까지는 문자그대로 평탄하였다.  그러나 10KHz 방형파 응답파형은 그리 좋게 보이지 않는다.  상당한 링잉이 포함되어 있다.  주파수 특성은 이런 종류의 암프로는 상당히 좋은데 방형파 응답파형은 그리 좋아 보이지 않는다.  특히 링잉이 크게 나오는데 아마도 이는 주파수 특성상 60 KHz지점에서 급격한 감소가 일어난다는게 그 이유일 것 같다.

 

캐소드 휘드백을 걸어준 상태애서  다시 측정한 고역특성은 -2dB down @ 50.5KHz, -3dB down @ 61.5dB, -6dB down @ 72KHz,로 보아서도 알 수 있듯이 50K Hz 를 지나면서 급격한 감소를 보이면서 깊이 있는 골짜기를 향성하고 있다.  50KHz 이전에는 비교적 평탄한 편이다.  한편 저역특성은 1W 출력에서 측정했을 때 -1dB down @10Hz인데 10Hz에서의 출력은 1W가 채 못된다.

저역에서 찌그러짐이 없는 정현파 출력은 20Hz에서 6V피크(2.25W), 30Hz에서 7V 피크(3W) 정도이다.   저역특성이 전혀 만족할만한 수준과는 거리가 멀다.  왜 그럴까? 이에 대한 설명은 제 3부에서 취급해 보겠다.

 

청음 느낌

 

음질을 평가할 때 내가 흔히 들어 보는 곡들은 솔로 악기 연주부터 시작하여 실내악, 대편성 오케스트라, 그리고 보이스, 합창 등의 순서로 들어본다.  대편성의 심포니를 들어 보는 것은 각종 악기들이 동시에 연주될 때 각 악기들이 또렷히 구분되는가를 들어보려는 것이다.  솔로 악기를 들을 때는 그 악기의 독특한 음색이 제대로 살아나는가를 본다.

 

이번에는 이 암프의 한 채널을 동작시켰을 때 얼핏들어 본 강주미가 연주한 바이올린 곡 파가니니아를 들어 보았다.  유튜브에 올려있는 음원인데 일반적으로 인터넷 음원은 CD만은 못하다는 느낌을 받아왔다.  그런데 이 곡만은 상당히 음질이 좋은 것 같다.  강주미가 연주한 바이올린은 꽤 유명한 바이올린인 모양이다,  음질이 가가막히게 좋다.  내가 가지고 있던 시스템으로는 현악기 소리가 처음으로 만족스럽게 들린다.  소리결들이 또렷하게 살아난다.

 

다음으로 들어 본 곡은 벤쟈민 브릿튼의 청소년을 위한 오케스트라 소개( The Young Person’s Guide to the Ochestra)인데 이 곡은 많은 악기들이 등장하고 다이나믹한 패세지들이 꽤 있다.  고역의 소리가 나는 악기들이 많이 등장하여 고역음질을 테스트하기에 좋은 것 같다.  이곡을 들으니 고역에 관한 한 내가 만든 암프 중 가장 좋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이 느낌은 호기심이 발동하여 Quintet 암프에 같은 곡을 같은 스피커에 물려서 들었을 때 그리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구나하는 느낌이 들이 약간은 정정해야 할 것 같다.  호, 불호의 차이가 정말 간발의 차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AB테스트를 하지 않고는 두 암프 모두 별 주의를 하지 않고 들으면 막상막하다.

 

하여튼 845직열형 같은 대형관을 들으면, 특히 부궤환을 걸어주지 않은 암프를 들으면 느낌이 매우 다이나막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비온 뒤 햇빛이 날 때의 대기 같이 맑고 청량하고 깨꿋하다.

결론적으로 현 상태에서 이 암프는 측정기에 보인 주파수 특성은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게 사실이다.  물론 통상적인 1W 출력에서 측정한 주파수 특성은 나무랄 데가 없다.  저역은 -1dB @ 10Hz, 이고 고역은 -1dB 다운 포인트가 거의 50KHz까지 확장된다.  그러나 문제는 저역은 출력을 약간만 높여도 찌그러짐이 심해지고 고역은, 물론 가청주파수 대역의 밖이기는 하지만 주파수 특성에 산과 계곡이 여러개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10KHz 방형파 응답특성에 심한 링잉이 보이고 1KHz 방형파 특성에서 조차 약간의 링잉이 보일 정도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감도 스피카를 연결하고 들어 보면 저역이 부족하다는 느낌은 별로 들지 않고 고역은 매우 깨끗하게 들린다.  향후 출력트랜스를 재 개발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충한다면 수만불을 호가하는 고급 하이엔드 암프에 전혀 뒤지지 않는 암프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제 3부로 계속)

 

DSCN0622.JPG

 

  • profile
    KDK 2017.06.02 12:42
    현재의 OPT 로도 High End Tube Amp 大家 들을 능가하는 작품입니다.
    OPT 가 더 개선 된다면 아무도 따라 못 오는 명기가 탄생 하겠습니다
  • ?
    KYJ 2017.06.02 13:24
    그렇게 말씀해 주시니 고맙습니다. 하여튼 개인적인 만족을 위해서라도 좀 더 큰 코아로 OPT 개발에 도전해 보겠습니다. 이번에는 소위 파이권선을 시도해 보고 싶은데 좋은 아이디어 부탁드립니다. 제일 문제가 리드선을 어떻게 끌어내는가와 얇은 보빈에 어떻게 코일을 뭉그러뜨리지 않고 감느냐 인것 같습니다. 가령 2차 코일은 한줄을 스파이럴 형태로 감아야 할 것 같은데 아마도 지그를 만들어 메인 보빈에 차례로 끼어나가는 방식으로 해야 할 것 같습니다.
  • ?
    KYJ 2017.06.02 13:41

    맨 마직막 사진을 보면 나무 샤시 밑에 바퀴를 달아 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암프가 제법 무거워서 실내에서 운반을 편하게 하기 위해 바퀴를 달아 보았습니다. 암프는 대략 무게가 90파운드 정도는 되는 것 같습니다. 전에 만든 것 보다는 많이 가벼워졌습니다.

    또 한가지 사진으로는 잘 보이지 않지만 전면의 얌프부 샤시는 나무 암프 샤시에 바이브레이션 아이솔레이터로 부착되어 있습니다. 전원트랜스 쵸크 등의 기계적 진동이 암프부의 진공관에 전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조치입니다만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없는 것 보나는 낫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전면의 메터는 출력관 풀레이트 전류를 보여주기 위해 달아 놓았지만 한개가 망가져서 못쓰게 되었고 출력관 캐소드에 CCS를 달아주는 식으로 회로를 변경했기 때문에 현 상태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읶습니다.  이 메터는 아마도 VU메터로 갈아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 profile
    금동 2017.06.02 14:34
    히터-캐소드 간 절연 문제와 처리에 관한 말씀 잘 알겠습니다. 코아 재질과 형태에 따라 Gap 의 량이 다르겠지만 Gap을 정하는 기준은 어떻게 하시는지요?
  • ?
    엘에이 2017.06.02 17:17

    바퀴달았습니다. 대단합니다.

    대가들에 못지않다고들 하는데 대가중에는 전공자 아닌 사람들도 있어보입니다. 정박사님이 전기 박사신데 대가 수준에 오르는게 당연하다고 봅니다.

    혹시 생각있으시면 제가 이베이에서 1만달러에 팔아보겠습니다. 

     

  • ?
    KYJ 2017.06.02 17:57
    내가 만든 암프들은 성능이 문제라기 보다 코스메틱스 때문에 상품성이 없습니다. 누가 산다면 만불이 아니라 그 반값에라도 팔겠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만들어 놓은 암프들이 너무 많아 파트 값에 처분하고 싶은 것들이 꽤 있습니다.
  • ?
    엘에이 2017.06.03 00:42
    파트값에 팔면 안팔립니다 비싸게 때리고 설명을 그럴듯하게하고 판매자가 바람잡고 기다리면 한 일년안에는 팔립니다. 싸게 파는 것보다는 이게 좋습니다
  • ?
    KYJ 2017.06.02 17:53
    그 문제가 항상 골치거리입니다. 이번에도 실험에 의해 정해 보았지만 코아 절단 상태가 원체 나빠서 아무 스페이서 없이 그냥 붙이는게 제일 나았습니다. 가장 얇은 종이 한 장을 십입해도 더 상태가 나빠집니다. 아마도 코아 절단면의 연마상태가 좋다면 더 가깝게 붙여도 좋을지도 모릅니다.

    지난 번에 올렸던 직류가 흐르는 인닥터의 인닥탄스 측정장치를 만들어 놓으면 암프에 달기 전에 측정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 회로는 약간 개조해서 AC 삽입용 트랜스에는 직류를 흐르지 않게 큰 오일 갶으로 직류를 차단해 주는 회로로 바꾸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적당한 저항을 하나 더 삽입하면 되겠습니다.
  • profile
    금동 2017.06.03 00:08
    조언 감사합니다. 요즘 테스트 장비 구상에 머리가 아파지고 있습니다. 진공관 앰프와 전원 트랜스로 1차 AC 주입은 해결이 되는데, 직류는 2차에 주입하는 것으로 설계해 보려합니다. 코일이 양쪽에 있는 R-core는 shell 형과 또 다른 양상으로 보아야할 것 같습니다.
  • ?
    KYJ 2017.06.03 06:58
    직류를 2차에 주입하는 편이 더 편리할 수도 있겠습니다. 나는 그 생각도 못했는데... 다만 직류량은 NI, 즉 암페아-턴의 숫자를 맞추어 주어야 합니다. 1차 권선 권수 곱하기 1차 직류전류가 2차 권선 권수와 2차에 흘려줄 전류의 곱과 같도록 2차 전류를 조절해 주면 됩니다.
  • ?
    이지오디오 2017.06.02 18:21

    이런 자작기는 마이오디오랩이 아니면 볼 수 없을 것 같습니다. KD128 코어로 고역이 이리 훌륭한 출력트랜스를 감은 것이 많이 부럽습니다. 

     

    박사님의 KD128 권선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려 주셨으면 합니다.

     

    자로단축 R-core 출력트랜스에서 저역이 약한 부분은 저는 자로 단축 최적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저역이 잘 나면서 고역이 좋은 최적화된 자로 단축 연구를 금동님께서 진행하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좋은 작품 기대됩니다.

  • profile
    마요 2017.06.03 07:37
    "이런 자작기는 마이오디오랩이 아니면 볼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저도 다른 사이트 다녀보긴 했지만 ...
    몰라서 질문을 올리면 올바로 답을 해주는곳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항상 박사님께 감사하다는 생각으로 마음만 있습니다.

    언제 여기 오시면 좋은 요리 한번 대접 해드리는게 바램입니다
  • ?
    KYJ 2017.06.02 19:29

    출력트랜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실패한 모델 포함 자세히 올려 놓겠습니다.
    그리고 파이 외인딩을 채용한 출력트랜스에 도전할 생각인데 원리적으로는 좋아 보이는데 그 구현이 상당히 어렵다고 보았었습니다. 특히 권선 시작점의 리드선을 권선 외부로 뽑아내는게 어렵게 보입니다. 그러나 해결책이 있을 것으로 봅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R 코아를 사용하는게 좀 더 어려워 보입니다.

    파이 외인딩이 좋아 보이는 것은 RF 쵸크를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햄래디오 하는 사람들은 RF 쵸크를 사용할 기화가 많지만 오디오 마니아들은 RF 쵸크는 볼 기회가 거의 없습니다. RF 쵸크에서는 부유용량이 커지면 쵸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부유용량을 줄이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여기에 사용하는 방법이 권선을 좁게 그리고 높게 감아 올리는 것이고 그런 쎅션을 여러개 만들어서 직열연결하는 것입니다.
    파이 와인딩도 같은 개념입니다. 코일 길이를 짧게 하고 층수를 증가하면 층간 부유용량이 작게되며 여러층을 만들면 층간 용량이 직열연결하는 게 되어 용량이 1/n로 줄어듭니다. 이런 좁고 높게 감은 권선 여러개를 다시 작열연결하면 더욱 용량이 줄어드는 셈이 됩니다. 여기이 이런 좁은 쌕션들 사아사이에 2차 권선이 들어가면 2차 권선은 전압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일종의 쉴드로 작용합니다. 이론적으로 잇점은 많지만 실제 자작을 하는 것은 상당히 많은 노력이 들어갈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한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 profile
    KDK 2017.06.02 20:58 Files첨부 (1)

    trrvso.jpg

     

  • ?
    이지오디오 2017.06.02 23:00
    감기는 honey-comb 감기, 사이 사이에 보빈 날개가 있으면 파이 감기가 될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최종 글
17 Spectrual Signature of my Amplifier (II) 7 file KYJ 2018.04.25 222 2018.04.28 2018.04.28(by 금동)
16 DC가 흐르는 인닥터의 인닥탄스 측정 15 file KYJ 2017.05.22 222 2017.05.24 2017.05.24(by KYJ)
15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미합중국의 전략적 접근 2 KYJ 2020.06.02 221 2020.06.05 2020.06.05(by 엘에이)
14 구경거리: Western Electric 300B Amp 4 file KYJ 2017.10.14 214 2017.12.13 2017.12.13(by 엘에이)
13 미 역사상 가장 무능하고 부패한 대통령, 오바마 2 KYJ 2020.12.19 206 2020.12.19 2020.12.19(by KDK)
12 이 젊은이의 동영상 감상해 보세요. 2 KYJ 2020.12.14 195 2020.12.30 2020.12.30(by KDK)
11 Spectral Signature of my Amplifier 14 file KYJ 2018.04.22 189 2018.04.27 2018.04.27(by 이지오디오)
10 스피커 유닛에 대한 좋은 사이트 1 file KYJ 2021.01.31 183 2021.10.24 2021.10.24(by 이지오디오)
» Revisit 845 (II) 15 file KYJ 2017.06.02 181 2017.06.03 2017.06.03(by 마요)
8 Revisit 300B 3 file KYJ 2017.10.04 179 2017.10.05 2017.10.05(by KYJ)
7 출력트랜스 등가회로 및 성능분석 5 file KYJ 2017.05.12 169 2017.05.15 2017.05.15(by KYJ)
6 세계최초?! 옴니다이렉셔녀널, 풍선 스피커 6 file KYJ 2021.01.26 156 2021.02.03 2021.02.03(by 엘에이)
5 [욕망을 표현하되 능력을 말하지 않는 세대, 좌파 그리고 현정권] 1 KYJ 2020.06.03 154 2020.06.08 2020.06.08(by 엘에이)
4 도널드 트럼프, 대 중국 중대발표 KYJ 2020.06.03 129 2020.06.03  
3 KYJ 박사님의 13GB5 x 5 para SE 앰프 글 복원에 대해 1 file 이지오디오 2017.04.06 121 2017.04.07 2017.04.07(by 엘에이)
2 Revisit 845 (III) 1 file KYJ 2017.06.03 120 2017.06.04 2017.06.04(by 이지오디오)
1 적폐 청산(積弊 淸算)은 무고한 구속자 석방에서 부터 !  1 KYJ 2017.05.29 81 2017.06.02 2017.06.02(by 엘에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