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My AudioLab

Tips & Ide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첨부

20180403_225511.jpg

 

그동안 부품을 모아서 어제 배전압정류를 처음 시도해봤습니다. 

트랜스는 700VA정도 110V 출력

콘덴서는 5600uf 

입니다.

정류해서 300V정도 나오는군요.. 

열이 많이 날꺼라고 하셔서 겁부터 먹었는데 다행이 NTC에서 미열만 있는 상태입니다.  - 저항연결해서 테스트해보고 NTC로 교체했습니다. -  

 

사진은 부하를 150K옴을 임시로 달았지만 나중에 부하를 300ma까지 흘릴 예정입니다. 

전압을 270V까지 떨궈야 하기에 저항이나 쵸크를 달고 필름콘덴서를 450uf정도 달고 정전압 회로를 넣어서 250V를 만드는게 목표입니다.  (정전압회로가 LM317가 들어가는거라 270V까지 낮춰야 합니다. )

 

근데 궁금한게 있는데요.. 

배전압 회로를 이용할때 콘덴서 용량이 커서 전원임피던스(??)가 커지고 스피드가 느려지는건 아닌건지 궁금합니다. 

일반적인 정류방식일때는 콘덴서 용량을 작게 할경우 (필름으로 대체를 하거나 - 10uf정도의 필름콘덴서) 저역이 좀더 깊어지거나 상쾌해지는듯한 느낌을 받았거든요.. 

 

 

 

  • profile
    KDK 2018.04.04 23:32

    현재 배선은 거의 No Load 상태라서  Capacitor는 Peak 전압으로 충전되여 있습니다

    Load를 걸어도 Capacitor 용량이 커서 전압강하는 그리 크지 않다고 봅니다

    전원 On 할때 Surge Current 가 매우 클겁니다

     

    답을 할려고보니 질문을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콘덴서 용량이 커서 전원임피던스(??)가 커지고 스피드가 느려지는건 아닌건지> <저역이 좀더 깊어지거나 상쾌해>
    -- 전원 Impedance 가 커진다 - 스피드 - 저역이 깊어진다/ 상쾌해 --- 단어는 알겠는데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체적인 설명 부탁합니다

  • ?
    청사 2018.04.05 01:52
    죄송합니다..저도 잘 이해를 못하는걸 질문할려니 어렵습니다 ㅠㅠ
    진공관 앰프에서 정류 콘덴서 용량이 커지면 상대적으로 저역의 스피드가 떨어지거나 깊은 저역이 안나오는듯한 느낌을 받거나..소리가 푸석해지는듯한 느낌을 받는다고 하는데..
    배전압을 하기위해 큰 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하게 될경우 일반 정류회로보다 손해를 보는게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 profile
    KDK 2018.04.05 08:28
    배전압회로 관련글이 여러개 올려저 있습니다.
    모두 읽어보시고 다시 질문 주십시요
  • ?
    KYJ 2018.04.05 13:26
    원론적인 답변을 시도해 보겠습니다. 전원회로에서, 배전압이든 아니든, 평활 캪의 용량이 크면 전원 임피던스가 작아지고 전류 공급능력이 커지기 때문에 전압 안정성에 도움이 됩니다. 암프가 A급으로 동작하면 전류가 대략 일정하게 흐르기 때문에 이런 경우는 평활 캪의 용량의 크기에 비교적 영향을 덜 받게 되겠지만 AB 급으로 동작하면 전류가 신호에 따라 변동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 평활 용량이 작으면 출력단에서 요구하는 전류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게 되고 전압강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지금 청사님께서는 약간 반대로 알고 게시는 것 같네요. 용량이 크면 임피던스는 작아집니다. 다만 실제적으로는 큰 용량의 캪이라도 등가 저항 (ESR)이 클 수 있으니 이 점은 조심하겨야 하겠지요.

    말씀 하시는 음질의 문제는 용량이 커서 발생하는 문제는 아닌것 같습니다. 다만 저역스피드가 떨어진다는 느낌은 들 수 있을지도 모르겠내요, 평활 용량이 작으면 큰 저역 시그날이 입력되었을 때 긴 시간에 걸쳐 큰 정류가 요구될 터인데 전원부는 그 전류를 공급하지 못해 전압이 떨어지고 출력이 떨이지게 되겠지요. 이 경우는 사실 찌그러짐인데 저역 스피드가 좋다는 착각을 들게 할 수 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 ?
    청사 2018.04.05 17:55
    저도 콘덴서 용량이 크면 나쁠건 없다라고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요
    다른 제작자 분들이나 회로들을 찾아봐도 콘덴서 용량을 크지 않고 필름으로 대체 하기도 하니까요..
    이렇게 진공관 전원부에 1000uf가 넘는 콘덴서를 붙이는 경우는 배전압 회로 말고는 못본것 같습니다.

    물론 여기 배전압 회로에 대한 글을 제가 권한이 되는건 다 읽어 봤는데 원리는 대충 알것 같습니다만..
    콘덴서 용량이 커짐으로 인한 음의 변화는 말씀이 없어서 문의 드려본겁니다.

    대충 이해한내용은 콘덴서에서 전원을 빼다 사용하니 충방전 속도가 빨라야 하고 콘덴서 용량이 작으면 큰 전류를 흘릴수 없으니 어느정도 용량이 되어야 한다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 전파정류 방식과는 달리 배전압 정류방식은 부하에 직접적인 영향은 주지 않고 오직 콘덴서 충전에 이용하는걸로 이해했는데 맞게 이해한건지 모르겠습니다.
  • ?
    KYJ 2018.04.05 19:31
    진공관 암프에서 전원 평활용 캪으로 1000uF는 대용량입니다. 초기 회로를 보면 물론 큰 쵸크를 사용해서 그렇기도 하지만 8uF정도를 쓴 회로도 많습니다. 대략 100uF에서 200uF 정도면 재부분의 진공관 암프에서는 충분합니다. 물론 요구되는 전류가 크다면 큰 용량이 필요합니다. 솔리드 스테이트 암프들은 저정압에 대전류를 요구하기 때문에 큰 용량을 사용합니다. 이번 LM3886 칩 암프에서는 20,000uF를 사용했습니다.
  • ?
    청사 2018.04.06 06:34
    3886은 저도 만들어 봤습니다^^ 3875도 하드와이어링으로 만들어 봤었네요^^
  • profile
    금동 2018.04.05 22:07 Files첨부 (1)

    보통 사람들이 말하는 소리가 빠르다, 섬세하다, 깊다, 명료하다, ...등등은  특정 주파수의  특성이라기보다는 고조파가 혼재된 악기 고유의 소리를 귀로 들으며 평가할 떄  사용되는 단어라고 생각합니다.  악기 소리의 구성으로보면 기본 주파수와  많은 종류의 고조파의  조합으로 볼수있습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혼합된 고조파를 싸고있는   ADSR Envelop의  형태에 따라서 귀로 느끼는 소리는 엄청난 변화를 주게 됩니다.  전자악기 탄생 초기에는 ADSR Envelop을 조절하며 악기소리를 만들어가곤 했습니다.  요즘은 거의다  실제소리를 샘플링하여 사용합니다만. 

    제가  생각하는 소리가  빠르다/느리다라는  표현은 앰프가 그 악기의 Attack 경사에 잘 반응할 수 있느냐라고 봅니다.  특히 저역악기에 잘 반응을 하려면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수 있어야만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adsr.jpeg

    • Attack time is the time taken for initial run-up of level from nil to peak, beginning when the key is first pressed.
    • Decay time is the time taken for the subsequent run down from the attack level to the designated sustain level.
    • Sustain level is the level during the main sequence of the sound's duration, until the key is released.
    • Release time is the time taken for the level to decay from the sustain level to zero after the key is released.

     

     

    그리고 명료해진다/깊어진다 ..등등은 고역의 고조파들의 변화 시에 많이들  경험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슈퍼트위터 등의 추가에서도 경험되는 현상입니다.  시중에 돌아다니는 표현들을  저 나름대로 전기적으로 이해해 보려고 한 자  적어 보았습니다. 

     

     

  • ?
    이지오디오 2018.04.05 22:34

    청사님의 말씀을 "굿모닝 오디오" 라는 책에서 내용을 읽어 본적이 있습니다. 저자 주장은 용량이 큰 캡 몇개 대신 용량이 작은 캡을 다수 사용하여 캡 용량을 올리면 작은 캡에 충전되는 시간이 짧으므로 큰 용량 캡 몇개에 비해 음의 스피드감이 훨씬 빨라진다는 주장입니다. 그런데 작은 용량캡 아주 다수인 전원은 진공관 앰프에서는 찾아보기가 어렵고 반도체 앰프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것을 봅니다. 이 경우 돌발 전류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진공관 앰프에서는 저역의 스피드감 및 저역의 대역폭은 전원부 보다는 출력트랜스가 병목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저역에서 출력트랜의 위상 변화가 스피드감에 영향을 미칩니다. 위상 변화가 클수록 소리가 지연되어 나오기에 굼 뜬 소리가 나오게 됩니다. 저역 대역폭 문제는 전원부 보다는 출력트랜스의 인턱턴스 문제로 생각합니다.

    진공관 앰프 자작 경험이 저는 적지만 전원부는 리플이 아주 적고 임피던스가 아주 작으며 앰프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폴리프로필렌 캡은 전원부의 임피던스를 낮추어줄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또한 고역에서 임피던스가 더 낮아 지기에 저역 보다는 고역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
    청사 2018.04.06 06:33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profile
    KDK 2018.04.06 09:44
    사진을보면 Trans 가 Heatsink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뭐를 따지기전에 이런것을 바로 잡고싶습니다.
    즉 기본이 않되있습니다

  1. No Image notice

    [공지] 이 게시판은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질문이든 아이디어든 OK!!

    [게시판 사용법] 오디오관련 질문이든 알리고 싶은 혹은 얻고 싶은 아이디어든 이 게시판 올려주시면 됩니다. 궁금한 것이 많은 데 막상 글로 정리하...
    Date2017.04.25 By관리자 Reply1 Views220
    read more
  2. 듀얼 라우터와 와이파이

    요즘 기술이 발달해서 대부분 와이파이를 통해 기기를 인터넷에 연결합니다. 과거에는 모뎀에 유선으로 기기를 연결해서 사용했습니다. 지금은 이 모뎀...
    Date2020.04.23 By엘에이 Reply2 Views94 file
    Read More
  3. No Image

    컴퓨터 태블릿 어떤 것을 사야할까?

    제가 최근 한 일년동안 구입한 기기들에 대한 이야기들을 계속해서 써 왔습니다. 나름대로 제 글을 읽고 구입을 고려한 분들이 있을 것 같아서 중간 결...
    Date2020.04.18 By엘에이 Reply4 Views80
    Read More
  4. 이제는 디지털 고음질 시대

    고음질 시험 24비트 192kh 화일입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VXrPu_LBvD8F9AQs_3bebQfZXeL-5JaM/view?usp=drivesdk 다운로드 하시고 컴으...
    Date2020.04.15 By엘에이 Reply5 Views145 file
    Read More
  5. 심심해서 산 맥북 프로

    맥북프로는 기본 가격이 13인치가 1400달러이고 15인치 고급형 최고 사양이 2800달러까지 아주 비쌉니다. 제가 요즘 하도 심심해서 집에서 아이패드로...
    Date2020.04.09 By엘에이 Reply2 Views92
    Read More
  6. 유튜브 뮤직

    유튜브 뮤직 2개월 무료 이용에 가입했습니다. 유튜브 뮤직은 다른 음원 사이트와 유사합니다. 가입방식은 유튜브 프리미엄 회원으로 가입하면됩니다. ...
    Date2020.03.31 By엘에이 Reply1 Views61 file
    Read More
  7. 뚱뚱한 사라 장과 날씬한 사라 장

    아래 사진은 같은 유튜브에서 다운 받은 동영상과 이를 수정 편집한 동영상을 동시에 아이패드로 플레이한 모습을 스크린 캡처한 사진입니다. 왼쪽이 ...
    Date2020.03.26 By엘에이 Reply7 Views96 file
    Read More
  8. 젠하이저 이어폰

    저는 잘 모르지만 이어폰과 헤드폰도 오디오의 일종으로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한개에 1달러부터 상상하기도 힘든 가격도 있습니다. 여러제품들 가운...
    Date2020.03.06 By엘에이 Reply1 Views63 file
    Read More
  9. 떡 사먹은 크롬북 플러스 V2

    열받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지난 8월에 구입한 크롬북 플러스의 힌지가 파열되면서 스크린이 부서졌습니다. 정확히 말해서 힌지는 스크린을 감싸고 있...
    Date2020.03.05 By엘에이 Reply2 Views62 file
    Read More
  10. 애플 뮤직

    요즘은 음악을 스트리밍해서 사용한다는 것이 일반화돼있습니다. 유튜브처럼 동영상전문 사이트에서도 음악을 들을 수 있고 한국을 보면 멜론이니 벅스...
    Date2020.02.29 By엘에이 Reply4 Views78 file
    Read More
  11. 디지털 음원과 플레이에 대한 이해

    음원이라면 대부분 mp3를 생각합니다. 어떤 이들은 mp3가 디지털 소리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아예 아무런 개념도 없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저...
    Date2020.02.28 By엘에이 Reply5 Views82 file
    Read More
  12. 유튜브 시대에 맞는 사용법

    저는 유튜브의 음악들을 다운로드해서 보관하고 있는데 이게 점점 어려워집니다. 다운안돼는 경우가 절반정도로 어렵습니다. 물론 유료가입하면 대부...
    Date2020.02.17 By엘에이 Reply1 Views63 file
    Read More
  13. 전화 인터넷 각종 사기...

    오늘 하루종일 모르는 번호의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저는 일단 받지 않는데 전화해보니 자동응답기가 알수없는 내용으로 사람을 끌어들이려하고 있습니...
    Date2020.01.20 By엘에이 Reply5 Views96 file
    Read More
  14. 드디어 애플

    과 손을 잡았습니다. 올해 들어 태블릿과 크롬북 플러스등 기기들을 사면서, 많은 연구를 하고 유튜브에 동영상들을 보다보니, 전문가들은 다 애플 기...
    Date2019.12.20 By엘에이 Reply2 Views78 file
    Read More
  15. 싸고 좋은 윈도우즈 컴퓨터

    제가 구입한 것은 아니고 아는 이가 구입해달라고 해서 윈도우즈용 노트북 컴을 하나 구입했습니다. 가격대비 성능이 대단합니다. 싼 노트북의 문제점...
    Date2019.12.16 By엘에이 Reply3 Views75 file
    Read More
  16. 어둠의 미학 USB charger 연결 LED 램프

    음악감상 할때 조금 어두운 환경에서 소리를 듣는 것이 편할 때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밤에 불을 끄고 하기도 그렇고 약간의 빛이 있어야 답답하지 않...
    Date2019.12.13 By엘에이 Reply1 Views101 file
    Read More
  17. 디지털 소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나름대로 이해를 돕는 유튜브 영상이 있습니다. 요즘 보면 cd의 음질의 기본 해상도를 넘는 24비트 96킬로헬츠등의 사양을 선전하는 DAC등 디지털 기...
    Date2019.12.05 By엘에이 Reply2 Views61 file
    Read More
  18. LG Stylo 4

    오랬동안 사용했던 전화기가 여러문제가 생기시 시작해서 새로 구입했습니다. 구입하는데 나름 어려움을 겪기도했습니다. 요즘 스마트폰 최신형으로 최...
    Date2019.11.07 By엘에이 Reply1 Views78 file
    Read More
  19. 새로 구입한 크롬북 이야기

    이전에 삼성크롬북 플러스 v2를 구입한 이야기를 한적이 있습니다. 나름대로 만족할 만한 부분이 많고 불만족한 부분도 있었습니다. 만족할 만한 부분...
    Date2019.10.01 By엘에이 Reply6 Views72 file
    Read More
  20. 모기 퇴치 그리드

    진공관의 그리드가 모기를 퇴치한다고 합니다. 요즘와서 모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이곳 캘리포니아는 여름이 길지만 건조하기 때문에 모기들이 ...
    Date2019.09.26 By엘에이 Reply2 Views68 file
    Read More
  21. 스피커 이야기

    요즘은 편리함을 강조하는 유행으로 인해 별로 스피커 작업을 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저만해도 차고에 아직 안들어본 스피커들이 있는데 귀찮아서 ...
    Date2019.09.24 By엘에이 Reply0 Views80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