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My AudioLab

KDK LAB

KDK
조회 수 14855 추천 수 0 댓글 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006_001.jpg

Switch-mode power supply 라고 부르는 이 전원는 처음에는

Computer 용으로 개발이 시작 되어 오늘날 거의 모든 전자장비 에 사용

되고 있습니다.

현대 SMPS 는 모두 고주파 영역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고주파 전원이라고

부르기로 합니다.

KD-133PF 는 제가 설계 제작 한 SMPS 로 위가 이 전원이고 아래가 기

능별 부위를 표시한 사진 그리고 회로도 입니다.006_002.jpg
006_003.jpg

SMPS 를 아시는 분은 회로 도와 비교 해 보십시오.

이 SMPS는 Half Bridge Topology 로 전압 조절은 Phase width 로 합니다. PFC 회로, Half Bridge PWM 회로, 모두 전용 IC Application Note 에 있는 표준 회로를 사용 했습니다.

Input/Output Isolation Voltage 3500V AC, Fan 을 안 쓰고

Conduction Cooling RFI 를 모두 규정치 이하로 줄여서 공기가 희박한 초

고도 비행 첩보기에 탑재한 미세신호 검출 장비에 합격 됬스나 Clinton 행정부가

들어 서자 Project 가 취소 되여 성능은 우수하지만 개발비도 못 건진 PS입니다.


SMPS의 원리

우리가 집에서 쓰는 상용 전력 전압은 한국은 220V, 미국은 120V 입니다. 이들을

입력으로 한국은 Full wave 정류 미국은 배 전압 정류 를 하고 큰 용량의 Filter

Capacitor를 병열로 연결하면 300V 정도의 직류 전압이 얻어집니다.


여기서 가상 SMPS 를 만들기로 합니다.

위의 직류에 switch 를 연결해서 1초에 한번씩 키면 1Hz, 두번이면 2 Hz 의 구

파가 만드러 집니다.

기계적으로 고속 Reley 60Hz 를 반파 정류해서 120Hz Ripple 로 동작

시키면 120Hz 의 진동을 하면서 1초에 120번 접점이 껏다 켰다 합니다. 옛날에

Vibrator 라는 것이 바로 이런 것입니다.

이것으로 120Hz 300V의 구형파가 만들어 집니다. 120Hz 구형파에 맞는 전원

Trans 60 Hz 와 같은 방식으로 정류 해서 원하는 전압을 만들면 이것이 바로

SMPS 입니다. -여기서는 120Hz 저주파 SMPS!! 전에 전원부 님이 저주파

SMPS 질문이 있섰습니다. 옛날 vibrator 로 만든 전원이 져주파 SMPS 입니

. 그 당시 저는 SMPS 라는 말은 못 들어 봤습니다.


최근 SMPS 는 여기에 여러가지 부속회로를 첨가해서 개선 한 것입니다.

반도체 MOS Power Transistor 소자의 발달로 고주파 Switching 이 가능해

졌고 입력 단에서 생산 돼서 배전망으로 들어가는 Harmonics 를 없에는 Power

Factor Correction (Pfc) 회로를 추가 하고 Switching 방식도 다양화 되서 특

히 공진형은 Noise level이 매우 낮습니다. 정류소자에서의 전력손실도 많이 개

선 됐습니다.


고주파 전원의 최대 특징은 main Power Trans filter capacitor의 소형 화

입니다. 아래 가 비교 사진입니다 .


006_004.jpg

006_005.jpg

개조한 전원입니다.

사진에 보이는 부품과 회로도를 비교해 보십시오 회로는 모두 기본 회로를 사용습

니다. 고전압은 배전압 회로를 시용하고 출력측에 Sourse Follower (동작 원리

로는 gate follower 입니다) 를 설치 해서 120Hz Ripple 도 감소 시키는 제가

즐겨 쓰는 제식의 Regulator 입니다.

006_006.jpg  

  • ?
    KDK 2012.06.27 20:24

    전원이 100 Khz 로 동작 하기때문에 Ripple Filter 는 문제도 안됩니다.
    Filter 를 안해도 상관 없습니다.    ccc

  • ?
    KDK 2012.06.27 20:25
    진공관 Amp는 Boat Anchor로 불리고 있는 무거운 쇠 덩어리 입니다.
    크고 무거울수록 권위 있는 물건으로 알아 줍니다.

    무게 대 출력비 가 클수록 재료 를 아끼지 않고 여유있게 만든 Amp 로 평가 합니다.

    저는 이런 기계 거저 줘도 들지도 못 하는 주제에 -- 무슨 진공관 Amp 야! 맞습니다.

    저는 지금 모든 것을 반대로 하고 있습니다.--가볍고 작게 -적어도 내가 들수 있게
  • ?
    KDK 2012.06.27 20:25
    예, 진음사랑 님 제가 개조한 부분은 모두 Toroid Core 를 사용했습니다.
    SMPS 회로 가 복잡한것 같아도 원리는 아주 간단합니다.

    오늘날 SMPS 는 옛날 Vibrator를 고주파 반도체로 대체 한것입니다.
  • ?
    KDK 2012.06.27 20:25
    《Re》애플2 님 ,
    SMPS 동호인이 생길것 같군요
    요사이 젊은 전자기기 Design 하는 사람들은 시작이 SMPS로 훈련되 있습니다.

    얼마전에 "時代를 逆行하는 Audio"라는 글을 올렸습니다만
    그렇게 하는것이 진공관 Amp 에서는 "正道" 라고 봅니다.

    따라서 지금 쓰고 있는 저의 글은 "逆道"가 되겠고 저는 '逆徒" 가 되고-.

    이렇게까지 되면서 제 번지에 안 맞는 글을 써야 되나 고민중입니다.
  • ?
    KDK 2012.06.27 20:25
    Sine 파를 이용한 교류 이론은 Resistor Capacitor Inductor 를 정의 하고 Impedance
    개념이 만드러지고 -- 이것을 기반으로 Linear Circuit 이론이 나오고 --
    그당시 서양 할아버지들이 큰 일을 하신겁니다.
  • ?
    KDK 2012.06.27 20:25

    "逆" 이 몇번 반복 되니까 방향감을 잃겠네요.

    지금 한진동은 "진공관 Amp"의 正道를 가고 있습니다.
    SMPS 쓰시는 분도 없고 전원 Trans 는 물론이고 정류도 무거운
    쵸크 Inductor 를 쓰는 진공관 정류

    이런 것이 正道입니다. 반도체 정류는 약간 벗어 나지만 묵인하는 것이지요 c

  • ?
    KDK 2012.06.27 20:26
    PFC 가 없어도 Half Bridge 면 충분히 쓸수 잇습니다.
  • ?
    KDK 2012.06.27 20:26
    제가 쓰는 PFC 없는 SMPS 입니다
  • ?
    KDK 2012.06.27 20:26
    "시멘트 저항의 노이즈 " 에 신경 쓴일이 없습니다.
  • ?
    KDK 2012.06.27 20:26

    1) IRF730의 역할은 짤게 설명하면 대형 Capacitor 대신 썼다고 보셔도 됩니다.
    Capacitor multiplier 라고도 부르는 회로 입니다.
    Drain으로 들어오는 Noise 도 제거 되겠지만 Noise 제거 목적은 아닙니다.

    2) Gate 의 파괴 전압이 낮아서 순간적인 Pulse 고전압에는 유효 합니다.

    Switching 동작이 아닌 Linear Pass Element 로 특히 고전압에 쓸때 High Impedance
    Gate 에 Low Impedance source 의 고전압이 걸리면 Zener Diode 가 Gate
    를 보호하다 자기힘이 모자라서 자기가 먼저죽고 다음에 gate 가 따라 죽 습니다.

    다행이 Zener Diode .가 죽으면서 Diode 양단이 녹아붙어서 저항이 "0"
    가되서 Gate 가 살아 남는수도 있습니다.

    저의 생각은 300V 가 넘는 전원 이라서 문제가 생기면 어차피 다 죽어버립니다.
    보호받을 확 율이 그리 높지 않아서 않썻습니다.
    또 제가 쓸 전원 이라서 ----

    3) 저는 50V 이상은 주로 Voltage Doubler 를 씁니다. Capacitor 가 두개지만 전압니 낮고
    같은 Trans 권선을 놀리지않고 쓰기때문에 Trans 감는것도 쉽습니다.

  • ?
    KDK 2012.06.27 20:26
    "KD-133 Power에는 Voltage Doubler부분이 없읍니다."
    전원부 님의 잘못된 설명 지적해 주셨습니다'

    PFC 회로가 고전압을 만드러 줍니다.
    Thank you very much
  • ?
    KDK 2012.06.27 20:27
    전원 회로에서 단파 정류, 양파 정류, Bridge 정류,
    배 전압 정류 (그 이상도 있습니다) 등이 있습니다.

    양파 정류하고 배전압 전류를 비교 하면 위의 사과님 말씁대로
    Efficiency 는 같다고 봅니다.
    한개의 Filament 에 두개의 Plate 가 달린 정류관 에는
    모두가 양파 정류입니다.
    개별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는 고압 (100V 이상)정류는
    저의 선택은 배전압입니다.
  • ?
    KDK 2012.06.27 20:27
    정류소자 는 1N4007 도 쓰고 Philips 의 BYV series 도 쓰고 있습니다.

    1N4007은 쓰고는 있지만 마음에 안들고 BYV 는 살수가 없습니다.

    전원부 님 께 물어 봐야 겠습니다.
  • ?
    KDK 2012.06.27 20:27
    제가 올린 SMPS 는 저의 JUNK BOX 에 굴러다니는
    골동품 IC 를 사용한 SMPS 입니다.

    최근에 제가 모르는 좋은 IC 들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특히 저는 한국의 사정은 모릅니다.

    한국서 쉽게구할수 있는 부품들을 소개해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저도 앞으로는 새로운 IC로 SMPS 만드로 볼려고 합니다.
  • ?
    KDK 2012.06.27 20:27
    전원부 님이 지적하신대로 "취미로하기에는 좀 어렵지만" 마음만 먹으면
    못할 것은 없다고 봅니다.

    한국에 있는 반도체 회사 Fairchild 에서 SMPS 관련 IC 가 여럿 나오고 있습니다.
    한번 알아 보십시요. Kit 도 있슬겁니다.

    한국서 쉽게 구할수있는 최신 재료로 저도 한번 만드러볼 생각입니다.
  • ?
    KDK 2012.06.27 20:27
    저전압 Non-isolated DC/DC converter 는 수백 가지가 개발되여 판매되고 있습니다.
    혹시 48V 나 72V output 이 있스면 이들을 직열 연결 해서 B+ 전원을 만들수 있습니다.

    한국서도 이런 종류의 DC/DC Converter 를 생산 한다면 고전압 출력도 특주 가능 할겁니다
  • ?
    KDK 2012.06.27 20:28
    한국은 전자 분야 에서는 오래전에 선진국이 되였습니다.
    모두가 여러분들의 노력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혼자서 다 알수는 없습니다.
  • ?
    KDK 2012.06.27 20:28
    여기 #101 "Grid Bias 에 Battery 사용"에서 Inrush Current 말이 나왔는데
    이것도 진공관 정류 에서는 문제가 안되던 사항입니다.
    Application 에 따라서는 골치거리 입니다.
  • ?
    KDK 2012.06.27 20:28
    반도체 전성시대에 진공관 Plate 용 SMPS 이용이라는것이
    말그대로 " 時代를 逆行"하는 것입니다.

    ruby 님의 LED 를 키는 용도라면 Diode Forward 특성에 맟는 전원이 되야 겠지요.
    Fixed voltage 보다는 Fixed Current 쪽으로

    이미 좋은 결과를 얻고 계시는것 같습니다.
    B+ 전원 으로의 개조도 알고 보면 별것도 아닙니다.

  1. No Image notice

    웹사이트에 이상한 현상 발생

    제가 지난 수요일에 강박사님 요청으로 KDK 칼럼을 KDK오디오 제작기와 KDK세상 이야기 둘로 나누고 그동안 올린 글들을 내용에 맞게 분리했습니다. 그런데 어제 금요일과 오늘 사이에 이상한 글들이 50개 이상 KDK 오디오 제작기에 올라오고, 박사님 글들은 ...
    Date2021.06.20 By엘에이 Reply1 Views339
    read more
  2. 나의 창조 반도체법

    엘에이님 보십시요 얼마 있다 지우겠습니다
    Date2022.09.23 ByKDK Reply0 Views88 file
    Read More
  3. 나도 - 미투 ---5분 동영상

    나도 한국에 있었다면 여기에 75년 최고령 원로로 얼굴이 나왔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iO99jdef50 https://www.youtube.com/watch?v=c08_XgiKfP8
    Date2019.01.28 ByKDK Reply2 Views146 file
    Read More
  4. 나는 측정기의 노예

    수년전에 13DR7/10DR7은 808 Amp 초단관으로는 rp 가 너무크고 Linearity 가 니쁘다고 포기 했었습니다. THD 에 너무 집착하지말고 좋은소리 -내가 받아 줄수있는 특성 수준에서 2nd Harmonics Rich sound - 를 만든다면 ?? 다시 THD meter 하고 씨름을 해야...
    Date2017.05.24 ByKDK Reply1 Views193 file
    Read More
  5. 꿈 (KDK)

    Date2013.06.20 ByAdmin Reply7 Views8240 file
    Read More
  6. 기초지식 - Batteries & Capacitors - 인도영어 4분

    Power supply 이해에 필요한 기본 지식입니다. 인도 영어지만 설명을 잘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Nci-13Bp1U
    Date2017.08.29 ByKDK Reply2 Views188 file
    Read More
  7. 구리줄로 회로 기판 만들기

    Date2021.01.24 ByKDK Reply0 Views112 file
    Read More
  8. 구경 -힌국말9분55초

    ㄷㄷ https://www.youtube.com/watch?v=PF2OQXiSohQ
    Date2021.01.26 ByKDK Reply1 Views79 file
    Read More
  9. 교정 - Top5 Vintage tube Amps

    5번째 805 Amp 는 Vintage 가 아닙니다 Top 5 Vintage Tube Amps eBay 38K Views 13 Likes Like if this guide is helpful Share March 3, 2016 .Although modern amplifiers have a host of great features, many listeners feel these products cannot offe...
    Date2018.01.23 ByKDK Reply1 Views1325
    Read More
  10. 교과서 회로 300B -8W

    이 이상 간단할수는 없습니다 1차전지의 발달로 20년은 문제 없습니다. 동작 상태에서도 전류가 흘르지를 않고 그냥 보관 싱태와 같습니다. B 전압을 좀 올리면 10 W (5%) 는 쉽게 달성합니다. 2개의 진공관의 궁합이 제대로 맞았습니다. 충분히 실용성이 있습...
    Date2021.01.22 ByKDK Reply0 Views133 file
    Read More
  11. 공진형 400v PS 성공

    금동님의 공진형 400v PS 성공 소식입니다. 우리 "My Audio" 에 새로운 기술 차원이 열립니다 곧 자세한 정보가 올라올겁니다.
    Date2021.01.24 ByKDK Reply0 Views84 file
    Read More
  12. 고급지식---KD55 inductance

    RSY 님의 KD55 Inductance 측정에 대한 저의 답글입니다. 고급지식 피측정체가 Non- linear 특성이라서 측정기에 주어진 측정 지침 ( Program) 에 따라서 값이 얻어지면 다행이고 얻어진 값도 우리가 알수없는 특정 조건하에서만 유효 합니다. 측정기가 Induct...
    Date2018.01.14 ByKDK Reply0 Views287 file
    Read More
  13. 고급 측정기 동원한 Test 설명-- 고급 Topic

    12년전에 올라온 영상입니다 우리도 참고해서 후세를 위해서 우리 제작기에도 적극 이용 했스면 좋겠습니다. 이제는 새로운 세대가 관삼을 갖게되기를 바랍니다. 이런데 관심있던 세대는 대부분이 이세상을 떠났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cEgy7...
    Date2023.04.12 ByKDK Reply0 Views59 file
    Read More
  14. 고급 진공관 설계기술

    Date2018.04.24 ByKDK Reply0 Views160 file
    Read More
  15. 고급 지식 -808 출력관의 한계

    사진한장 더 올립니다 Grid 위치가 옆으로 약간 ---
    Date2017.05.18 ByKDK Reply0 Views190 file
    Read More
  16. 第2高調波 優勢形 (제2고조파 우세형) Amp

            2차 고조파 우세형  Amp - 제가 만든 단어라서 듣기에 생소하지만 여기의 글은 저의 시각에서 보는 Tube Amp 이야기입니다-. 1980년대에 시작된 High End Audio Industry는 WE300B Amp가 주도했습니다.
    Date2012.07.03 ByKDK Reply3 Views5063 file
    Read More
  17. 第2高調波 優勢型 Amp

    -------제목이 생소 하지만 저의 시각에서 보는 이야기 입니다------- 2次 高調波 優勢形 Amp (2차 고조파 우세형 Amp) 1980년대에 시작된 High End Audio Industry 는 WE300B Amp 가 주도 했습니다. 그로부터 이미 30년이라는 세월이 지났습니다.  더 큰 출...
    Date2012.06.28 ByKDK Reply14 Views5872 file
    Read More
  18. 火星人이만든 Amp - #1

    출력관으로 21KA6, 전압증폭으로는 14BL11을 쓰기로합니다. TV용으로 태여난 죄로 진공관시대 말기에 제조된 “최신” 진공관 이지만 반세기 이상을 Junk통안에서만 살아온 Compactron 입니다 제작 목표는 2개의 진공관으로 LP와 CD판을 듣는 인티 ...
    Date2012.06.27 ByKDK Reply0 Views7416 file
    Read More
  19. 火星人이 만든Amp -#2

    3극관 특성 흔히들 “삼극관의 3정수” 라고 하는데 사실은 전압증폭율 mu 하고 내부저항 이라고 하는 rp 의 2가지 뿐입니다. 3번째 Transconductance 는 mu 를 rp로 나눈 수치로 기본정수가 아닙니다. 단위는 저항치 ohm 의 역수로 mho 라고 합니...
    Date2012.06.27 ByKDK Reply0 Views5807 file
    Read More
  20. 火星人이 만든 Amp - #6 PS

    Switch-mode power supply 라고 부르는 이 전원는 처음에는 Computer 용으로 개발이 시작 되어 오늘날 거의 모든 전자장비 에 사용 되고 있습니다. 현대 SMPS 는 모두 고주파 영역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고주파 전원이라고 부르기로 합니다. KD-133PF 는 제가 ...
    Date2012.06.27 ByKDK Reply19 Views14855 file
    Read More
  21. 火星人이 만든 Amp - #5

    그동안 김계중, 사과 님 두분의 OPT 제작글이 올라와서 많은것을 배웠습니다. 위 사진에서 (1)은 좋다고 알려진 대만제 James JS-6112HS 로 일차 전류를 70ma 까지 흘릴수 있는 10W 용량의 OPT 입니다. 재료가 같으면 무계와 크기로 전력 용량을 판단할수 있...
    Date2012.06.27 ByKDK Reply11 Views961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
위로